🌻 ‘식물성’이라는 말에 속았다
— 씨앗기름의 진짜 정체
“카놀라유는 식물성이라 건강에 좋아.”
“대두유는 포화지방보다 훨씬 낫다.”
“식물성 기름을 먹어야 건강하다.”
🥄 그런데 이 말들, 정말 맞는 말일까?
우리가 매일 사용하고, 심지어 ‘건강하게’ 여기는 씨앗기름은
실제로는 먹어서는 안 될 초가공 식품이다.
더 심하게 말하면, 공업용 폐기물이 식탁에 올라온 것이다.
🌾 씨앗기름은 식물성 맞다.
그런데 건강하진 않다.
우리가 흔히 쓰는 식물성 기름:
- 카놀라유
- 해바라기유
- 대두유
- 옥수수유
- 면실유
- 포도씨유
📌 모두 기름을 거의 내기 어려운 씨앗에서,
공업적 추출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초가공 기름이다.
🔧 씨앗기름, 이렇게 만든다
- 고온으로 씨앗을 압착하고
- 헥산(hexane) 같은 석유계 화학용매로 녹여 기름을 뽑고
- 탈산, 탈검, 표백, 탈취 등 정제 공정
- 최종적으로 고온 처리해서 냄새와 색까지 없앰
📌 이 과정에서:
- 트랜스지방 생성
- 산화물 축적
- 헥산 잔류 가능성
- 영양소 파괴
“식물성”이라는 말 하나로
초 가공된 씨앗기름이 '건강식'으로 둔갑한 것이다.
🧬 오메가-6 과잉이 만든 만성 염증 체질
씨앗기름의 주성분은 리놀레산(linoleic acid)
즉, 오메가-6 지방산이다.
문제는 오메가-6가 많아지면:
- 염증 유전자인 NF-κB, COX-2를 자극
- 오메가-3와의 불균형 → 만성 염증
- 체지방 증가, 인슐린 저항성, 심혈관 문제로 이어짐
📌 현대인의 오메가-6:오메가-3 비율은
20:1~40:1에 달할 정도로 망가져 있다.
(이상적인 비율은 2:1~4:1)
🧬 씨앗기름이 몸속에서 벌이는 일
씨앗기름 속 리놀레산은 단순한 지방이 아니라,
세포와 유전자 수준에서 몸을 바꾸는 물질이다.
🔸 1. 세포막 파괴
- 리놀레산이 세포막에 침투해 구조를 불안정하게 만듦
- 산화에 취약한 세포로 변질
🔸 2. 염증 유전자 활성화
- 산화 스트레스 → 활성산소(ROS) 증가
- NF-κB 등 염증 유전자 경로 활성화
🔸 3. 질병으로 연결
- 암세포 환경 조성
- 대사 장애 유도
-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
🔥 왜 튀기면 더 위험할까?
씨앗기름은 고온에서 쉽게 산화된다.
그 결과:
- 알데하이드, 아크롤레인 같은 발암성 산화물 생성
- 트랜스지방 형성
- 재사용할수록 독성은 수 배 증가
📌 튀김을 먹을 때마다 지방 + 독소를 동시에 섭취하게 되는 셈이다.
🏭 씨앗기름은 원래 ‘먹는 용도’가 아니었다
- 카놀라유: 공업용 윤활유
- 대두유: 잉크·페인트 원료
- 옥수수유: 플라스틱 유연제
그런데 이 기름들이 어떻게 식탁으로 들어왔을까?
❓ 씨앗기름은 왜 이렇게 만연해졌을까?
사실 씨앗기름은 전통 식단에 존재하지 않았다.
과거엔 인간이 먹던 기름이 아니었다.
🧭 그 침투 경로는 이렇다:
- 20세기 초, 미국의 농업과잉
→ 남은 씨앗을 산업용 기름으로 사용 - 2차 세계대전 이후, 군수용 기름의 식용 전환
- 1960~70년대, 포화지방=적이라는 잘못된 이론 확산
→ 식물성 기름이 ‘건강식’으로 마케팅됨 - 정부 보조금 + 식품 대기업 마케팅
→ 싸고 유통 쉬운 씨앗기름이 식탁을 점령
“씨앗기름은 먹으라고 만든 게 아니라,
팔기 위해 식품화된 공업 제품이다.”
🍳 그렇다면 어떤 기름이 진짜일까?
✅ 자연 상태에서 물리적으로 짜낼 수 있는 기름:
- 버터, 기버터(Ghee), 라드, 텔로우
- 엑스트라버진 올리브유
- 저온 압착 코코넛오일, 아보카도오일
📌 정제되지 않고, 고온·화학 공정을 거치지 않은 기름이 진짜 건강한 기름이다.
✅ 정리하면
- 씨앗기름은 식물성이라는 단어 하나로 포장된 산업식 초가공 식품이다
- 몸속 염증을 일으키고, 유전자와 세포를 파괴한다
- 본래 식용이 아니었던 기름이 정책과 자본, 마케팅으로 식탁을 점령한 것이다
- 건강한 기름은 언제나 자연 그대로의 지방 식재료에서 나온다
🔒 한 줄 요약
“씨앗기름은 식물성이라서 먹는 게 아니라,
산업 자본이 식탁에 침투시킨 공업기름이다.”
📚 참고자료
- Weston A. Price Foundation
The Oiling of America - Ray Peat, PhD – Unsaturated Fats and Inflammation
- 『유전자를 바꾸는 식단』, Dr. Mitchell Gaynor
- Simopoulos A. (2002) – Omega-6 fatty acids and inflammation (PubMed)
- Nina Teicholz – 『The Big Fat Surprise』
🌱 이런 글이 더 궁금하다면?
'지속 가능한 삶 > 식량 시스템의 진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🥤 ‘제로’라는 말에 속았다— 단맛은 여전히 당신을 조종한다 (0) | 2025.04.25 |
---|---|
고기를 끊으면 지구가 나아질까? — 인조육의 진실 (1) | 2025.04.23 |
공기버터란? 빌게이츠가 투자한 공기단백질의 진실 (2) | 2025.04.21 |